장 볼 때마다 카드값·현금값 아깝다고 느껴본 적 많으시죠? 특히 전통시장에서는 더더욱요. 그런데 그냥 지나치기엔 손해가 큰 게 있습니다 — 바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이에요.
단순히 ‘상품권’이 아닌, 할인 + 환급 + 소득공제 등 복합 혜택까지 있는 생필품 절약 파트너라고 보면 됩니다. 아래 링크에서 공식 정보도 참고할 수 있어요
✅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구매처

먼저 스마트폰에 ‘온누리페이’ 또는 ‘비플페이’ 앱을 설치하세요. 앱스토어 / 구글플레이에서 검색하면 나옵니다. 회원가입 후 본인 명의 계좌를 등록하고, 원하는 금액의 모바일 상품권(5천원,1만원,3만원,5만원,10만원 단위 가능) 권종을 선택해 구매하면 돼요. 구매 가능 한도는 월 200만원까지입니다.
오프라인 지류 상품권도 있는데, 은행 지점 등 판매처가 정해져 있습니다. 다만, 할인율 및 구매 한도는 모바일/디지털형과 다르므로 확인이 필요해요.
구매할 때는 ‘모바일상품권’ 또는 ‘디지털 온누리상품권’ 옵션을 선택하고 앱 내 지침 따라 권종, 결제 수단 설정한 뒤 구매하면 되고, 잔고 확인이나 충전 취소 같은 기능도 앱에서 제공됩니다.
✅ 대상 조건

상품권 구매 및 사용을 위해서는 본인 명의 스마트폰, 앱 설치, 본인 인증 및 계좌 등록이 필수입니다. 대리구매는 원칙적으로 제한되며, 신분증 제시가 요구될 때도 있어요.
또한 월 구매한도가 있으며, 모바일/디지털 상품권은 월 최대 200만원까지 구매 가능합니다. 지류형 상품권은 보다 낮은 구매 한도가 적용돼요. 할인 적용 여부도 ‘할인 이벤트 중인지’, ‘어느 형태(모바일/지류/카드형)’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.
✅ 할인 내용 및 혜택

보통 모바일/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10% 할인으로 구매 가능하고, 지류형은 5% 할인이 기본이에요.
특정 기간에는 할인율이 15%로 상향되기도 하고, ‘환급 이벤트’가 함께 진행되어 구매 및 사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기도 해요. 예: 설 명절 기간 동안 디지털상품권 할인율을 10%에서 15%로 늘리고 결제액의 최대 15% 환급 이벤트가 있었어요.
| 항목 | 모바일/디지털형 | 지류형 |
|---|---|---|
| 기본 할인율 | 10% 할인 | 5% 할인 |
| 할인 상향 이벤트 | 15% 가능 (기간한정) ✔ | 대체로 유지됨 |
| 구매한도 | 월 200만원 | 월 50만원 등 낮음 |
| 환급/이벤트 혜택 | 할인 + 사용액 환급 이벤트 가능성 있음 | 보통 이벤트 적음 |
| 소득공제 여부 | 전통시장 사용 시 최대 40% 소득공제 가능 | 같은 조건 적용됨 |
✅ 사용법 / 사용처

상품권 구매 후 앱에서 가맹점 찾기를 통해 주변 전통시장, 상점가, 상권활성화구역 내 사용 가능한 상점들을 조회할 수 있고, 상점 입구 또는 매장에 온누리상품권 가맹 스티커 또는 QR코드 표시가 있는지 확인하는 게 좋아요.
결제할 때는 상품권 잔액이 앱 또는 디지털 카드형 상품권에 있는지 확인한 뒤, 매장에서 QR코드 또는 앱 내 결제 메뉴를 통해 상품권 선택 → 결제 진행하면 됩니다. 잔액 부족 시 카드/현금 등 다른 결제수단과 병행 결제 가능한 경우도 있으니 매장에 문의해보세요.
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도 제품 구매 가능하며, 우체국쇼핑 · 온누리공공몰 · 먹깨비 앱 등 여러 온라인 플랫폼에서 온누리상품권 사용 대상 상품을 판매 중이에요.
Q&A
Q1. 할인 이벤트는 얼마나 자주 하나요?
할인 이벤트는 명절, 대형 공휴일, 정책 발표 시 등이 일반적이고, 정부 또는 중소벤처기업부 웹사이트 / 온누리상품권 공식홈 이벤트 공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
Q2. 환급 이벤트는 어떤 조건 있어요?
보통 최소 사용금액 조건, 회차별 환급 한도, 기간 제한 등이 있으며, 모바일형/카드형에 따라 환급 방식(쿠폰 등록, 선물하기 등)이 달라요.
Q3. 온라인에서도 사용 가능한가요?
네, 온라인 전통시장관 등 인증된 플랫폼(우체국쇼핑, 온누리공공몰, 먹깨비 등)에서 제품 구매 시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사용 가능해요. 단, 해당 상품이 가맹처인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.
자세한 최신 정보와 혜택은 공식 홈페이지 이벤트 페이지에서 꼭 체크해보세요